마음챙김의 이론과 실습(공통1)

1. 강의 개요
과정
구분
과목명
학점
담당교수
강의시간
강의실
e-mail

명상지도사 과정

심리상담사 과정

공통
마음챙김의 이론과 실습
2
정준영
13:00~15:00
(120분)
3층 강의실
saddha@hanmail.net
2. 강의목표
  • 초기불교 수행의 주요역할이자 현대명상의 치유기제인 마음챙김(Sati, Mindfulness)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 실천 방법에 접근한다.
  • 초기불교, 상좌부불교, 현대 심리치료 안에서 다루는 마음챙김의 실천방법에 대해 살펴본다.
  • 마음챙김을 활용한 방법이 개인의 수행법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다.
3. 교재 및 참고문헌

1)정준영, 「있는 그대로」  에디터, 2019 ; 2)정준영, 「사띠논쟁」 「불교평론」  62호, 2015 ; 3)정준영, 「초기불교 수행의 주요기제 연구 – 빠자나띠를 중심으로」 「명상심리상담」  28권,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; 4)정준영, 「사마타와 위빠사나의 의미와 쓰임에 대한 고찰」 불교학연구 제12호, 2005 ; 5)정준영, 「몸, 놓아야하는가 잡아야하는가」 「몸, 마음공부의 기반인가 장애인가」  운주사, 2009 ; 6)정준영, 「대념처경에서 보이는 수념처의 실천과 이해」 불교학연구 제7호, 2003 ; 7)정준영, 「대념처경에 나타나는 심념처에 대한 연구」 한국불교학 제53집, 2009 ; 8)정준영, 「현대 위빠사나 수행법 비교 - 순룬, 고엔카, 마하시, 쉐우민을 중심으로」 한국교수불자연합회지 제26권, 2020 ; 9)정준영, 박성현, 「초기불교의 사띠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 : 마음챙김 구성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」 한국상담심리학회지 제22권, 2010.

 

논문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(https://www.kci.go.kr/kciportal/main.kci)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.

4. 주차별 강의(실습, 실기, 실험) 내용
주차
강의 주제 및 내용
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제 1주
강사 및 강의계획 소개
제 2주
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?교재 1)
제 3주
마음챙김과 사띠, 삼빠잔냐
제 4주
마음챙김과 위빠사나교재 1), 4)
제 5주
마음챙김과 사념처(身隨觀)교재 5)
제 6주
마음챙김과 사념처(受隨觀)교재 6)
제 7주
마음챙김과 사념처(心隨觀)교재 7)
제 8주
중간고사
제 9주
마음챙김과 사념처(法隨觀)교재 1), 4)
제 10주
[상좌부불교]마하시 사야도의 마음챙김교재 1), 8)
제 11주
[상좌부불교]순룬 사야도의 마음챙김교재 1), 8)
제 12주
[상좌부불교]쉐우민 사야도의 마음챙김교재 1), 8)
제 13주
[상좌부불교]고엔카지의 마음챙김교재 1), 8)
제 14주
마음챙김과 심리치료교재 9)
제 15주
기말고사
5. 성적평가 방법
기말고사
출결
합계
60
40
100
6. 수업 방법(강의, 토론, 실습 등)
  • 본 수업은 이론과 실습을 진행합니다. 1주차~7주차, 9주, 14주차는 이론을 중심으로, 10주~13주차는 실습을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.
  • 필요에 따라 PPT를 사용할 수 있으며, 관련 자료는 강의를 마친 후에 PDF파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.
7. 수업에 참고하여야 할 사항(특이사항)
  • 상기 <3. 교재 및 참고문헌>의 준비가 없어도, 수업의 참석 및 진행은 가능합니다.
  •  진도의 진행 상황에 따라, 주차별 강의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.

       📌 강사의 사정에 따라 휴강 할 수 있으며, 보강(혹은 연강)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(10월 4일, 10월 11일 휴강 예정).